한국어
익명_895629752019.01.12 02:08
우리나라 보수의 문제점이 뭔지암?
자기가 맞다고만 생각하고 상대 의견 배척하면서 자뽕에 빠져가지고 논리적 허점이 있는 뇌피셜쓰기 때문임
그 부분은 지식으로서 알면 알 수록 허점이 드러남
또한 팩트만 나열된거가지고 1차원적 사고가 주를 이루고 확장된 사고가 부족함
역사적으로 분단국가에 해방이후 반공주의를 내세우면서 많은 지식인들이 공산주의로 몰렸고 보수라는 개념이 보편적 기준에서 볼때 오른쪽으로 밀렸음
쉽게말해서 진보가 중도가되고 중도가 보수되는거임

글쓴이 말대로면 이완용이나 매국놈들 다 칭찬받을 일임
역사를 배우는게 사대주의를 해서 그 타당성을 찾는게 역사를 배우는게 아님
미래를 대비해 비슷한 경우를 배우면서 아날로지적인 사고를 훈련하고 과거와 반복되지 않기 위함임
좌파 소위 진보에 대한 컨셉이랑 보수에 대한 컨셉도 제대로 안 잡혀있는데 우익만능주의처럼 하지마셈
그건 보수주의와도 맞지 않는 거임
실제로 대중이 진보 보수를 떠나서 지식의 총량이 적기 때문에 판단의 오류가 생길 수 도 있음
글쓴이의 생각이지만 설사 중우정치라하더라도 교육적 시스템의 문제를 판단해야지 개돼지라서 탓 만하면 더 발전이 없는거임
랑케의 실증주의 사학만하면 일제강점기도 정당화되는거임
실제로 일본인들에 의해 실증주의 사학 연구가 많이 된 것도 지네들 정당화와 관련된 것도 있고

중우정치라는게 보수 성향의 정치가들이 자신들의 권력이 대중에 의해 힘을 뺏기는거에 불만으로 나온 개념임
그리고 양원제로서만 그 보완이 가능이 가능한 것도 아니지 다당제로서도 보완이 충분히 가능함
독일 정당 득표수만봐도 우리나라라면 공존이 가능할까 싶을 정도임
해방이후 부터 지내온 역사가 거대 양당제를 만드는데 가장 영향을 크게 미쳐서 생겼기 때문에
현재까지 이 상태로 왔고 모아니면 도라는 사고는 그 만큼 발전가능성을 줄이는 것임
다양한 의견을 취합하고 발전을 모색하는게 가장 좋은 것이고 자유민주주의에도 맞는 것임
나치가 망한 이유도 똑같음
타인종들을 바이러스 처럼 취급하고 우월주의에 빠졌고 그 바이러스를 공존하지 못하니까 망한거고
마지막으로 한 마디 더 하자면 일부 의견을 전체의견으로 매도해서 좌파니 뭐니 이분법적 사고는 발전에 도움이 안됨
이유는 지금까지 써있는걸로도 충분하다 생각함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